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ololive 프로덕션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그룹 운영 관련 === * 과거에는 새로 데뷔한 멤버가 데뷔 후 한 달간은 동기를 제외한 다른 멤버들과의 콜라보를 하지 않도록 강제하는 룰이 있었다. 자신들만의 캐릭터성과 팬층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신규 영어권 팬들 중에선 이 규칙을 두고 뭔가 잘못해서 징계를 받은 거냐고 묻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었다. 물론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었고, 솔로 데뷔였던 [[IRyS|아이리스]]는 Myth와의 콜라보가 2주 만에 해금되는가 하면 Council은 한 달도 되기 전부터 음성채팅만 안하면 된다면서 마인크래프트 같은 게임으로 Myth와 비공식 콜라보를 하는 등 어느 정도의 융통성은 발휘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홀로 EN Advent가 데뷔 2주 만에 [[타카나시 키아라]]의 홀로토크에 등장한 것을 기점으로 EN에서는 선배 기수와의 콜라보 제한이 해제되었으며, 신규 브랜치인 DEV_IS의 첫 기수 ReGLOSS는 아예 데뷔 2주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자신들의 공식 채널에서 JP인 홀록스와의 콜라보를 성사시켰다. DEV_IS 신 기수 FLOW GLOW는 '''데뷔 하루 만에''' 직속 선배인 ReGLOSS와 자신들의 공식 채널에서 콜라보를 하게 됨은 물론 데뷔 10일차에 [[코가네이 니코]]와 [[나츠이로 마츠리]]의 콜라보가 성사되며 JP와도 바로 각종 콜라보를 진행하게 되면서 이러한 선배들과의 콜라보 제한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 새로운 멤버의 데뷔 방송이나 3D 데뷔 방송을 할 때는 멤버들끼리 응원하는 취지에서 기존 멤버들이 같은 시간에 방송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홀로라이브 JP 멤버들 사이에서 암묵적으로 지켜지던 규칙이 2022년 말에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의 모든 멤버들에게 똑같이 적용되도록 공식화 되었다가,[[https://youtu.be/CQRsfjHB-BA|#]] 점차 시청자층과 소속 멤버들의 지역 및 언어가 다양해지면서 규정의 취지가 모호해져 2023년 말에 각 그룹[* hololive JP, [[hololive INDONESIA]], [[hololive ENGLISH]], [[HOLOSTARS]],[[HOLOSTARS ENGLISH]], [[hololive DEV_IS]] 등] 내에서만 지켜지는 규정으로 바뀌었다.[[https://note.cover-corp.com/n/ne9a79eca8b99?sub_rt=share_sb|#]] * 2024년 1월 10일 공식 노트를 통해 탤런트들의 3D 라이브 관련 정책의 대대적인 변경을 알렸다. 탤런트들의 수가 크게 늘면서 지금까지처럼 3D 라이브를 생일/데뷔 N주년 최대 2회씩 보장해주는 것이 라이브를 준비하는 탤런트들에게도, 스태프들에게도 매우 막대한 부담이 가해져왔고 이와 별개로 리스너들도 하루가 멀다 하고 이어지는 무수한 라이브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년 4월부로 3D 라이브는 모든 탤런트들에게 '''생일 1회로 일괄 제한'''을 두기로 하였다.[* 단, 해외 브랜치는 이와는 별개로 1회 정도는 더 3D 라이브를 할 수 있게끔 여유를 두었다. 코로나 시기에 전혀 그러한 활동을 할 수 없었던 것에 대한 나름의 보상인 듯.] 대신 N주년의 경우 기수별로 묶어서 진행토록 하였으며, 기존의 게스트 다수+노래/춤 중심의 라이브로 이루어진 방식 외에 다양한 3D 기획을 주년 및 개인 생일 때에도 시도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 이전에는 오디션 지원 조건에 "주 3회 이상 방송"이 포함되어 있거나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073.000030268.html|#]] 구독자 수 3만명을 넘으면 3D 모델을 지원해주는 등 [[https://youtu.be/JP4wylP-4Wk|#]] 활동과 관련된 수치가 어느정도 정해져 있었지만, 지금은 숫자와 관련된 할당량[* 구독자 수, 동시 시청자 수, 동영상 조회수 등] 등은 전혀 없다. 공식 행사 출연, 광고 방송, 기념 상품 제작 등 모든 활동은 각 멤버의 의사를 따른다고 하며, 작게는 친필 사인이 적힌 상품을 제작한다면 사인을 몇장이나 적을지부터, [[https://www.youtube.com/live/YRaUl1l2dAc?t=3880s|#]] 크게는 홀로페스같은 대형 이벤트 출연도 의무가 아니라 각 멤버가 결정한다. [[https://www.youtube.com/live/Y60v-lHeNnE?t=33212s|#]] 회사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기준치도 없어서, 말 그대로 뭐라도 하고 있으면 괜찮다고. [[https://www.youtube.com/live/Y60v-lHeNnE?t=33585s|#]] 단, 엄연히 회사에 소속된 입장인 이상 한번 결정을 내리면 조건을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일을 시작했다가 나중에 일이 한번에 몰려와서 고생하거나, 그런 멤버의 스케줄을 조율하기 위해 중간에서 분투하는 매니저들의 후일담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구독자 100만을 달성한 멤버는 회사가 해줄수 있는 것 중에서 원하는 것을 부탁할 수 있는 일종의 소원권 같은 것을 받는다. 키아라는 [[https://mobile.twitter.com/takanashikiara/status/1533064382019784705|신의상을 요청]]했으며 아멜리아는 [[https://mobile.twitter.com/takanashikiara/status/1533071677789282308|팔라딘스와 콜라보를 선택]]했다. 그밖에도 [[아쿠아리움(게임)]]이 아쿠아가 받은 선물이었다거나, [[아라가키 유이|각키]]와 만날수 있는지 부탁해봤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건 무리였다[* 매니저가 노력은 해보겠지만 기대는 하지 말아달라고 대답했다.]는 카나타 등, 멤버마다 요청하는 것은 제각각이다. 200만 달성 소원권도 있다고하는 것으로 보아, 100만 단위로 소원권을 받는듯 하다. 만약 멤버가 부탁한 일이 소원권을 사용할 정도로 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회사측에서 부탁을 반려하고 새 요청을 받기도 한다. [[니노마에 이나니스]]는 100만명 달성 기념 선물을 받는데까지 4년 가까이의 시간이 걸렸는데, 첫번째로 자신의 [[넨드로이드]] 제작을 소원으로 말했지만 어차피 Myth 멤버들의 넨드로이드가 발매될 것이라 반려되었고, 두번째로 어떤 작곡가와 컨택해주기를 부탁했지만 "그냥 직접 연락하시면 됩니다." 라며 반려되었다고 한다. 이후로 한동안 잊고 있다가 회사측에서 이나가 아직 선물권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시켜줬고, 결국 3D 모델을 부탁하여 2025년 생일 기념 콘서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https://youtu.be/1DszkZGJWOs|#]] * [[니지산지]]의 [[악시아 크로네]] 사태 이후로 [[ANYCOLOR]]와의 비방 중상 행위에 대한 단속에 대해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공지가 올라왔다.[[https://cover-corp.com/news/detail/20221205_announcement/|#]] 이후 2023년 6월 28일, 유튜브, note 주식회사, [[UUUM]], [[애니컬러]] 주식회사 등과 함께 사단법인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협회가 설립한 '비방 중상 대책 검토회'에 참가한 사실을 공지했다.[[https://cover-corp.com/news/detail/20230628|#]] *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오디션 응모 조건으로 '18세 이상의 일본 거주자', '국적·성별 불문', '꿈과 목표가 있는 분'의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두번째 조건은 이론상으로는 [[버미육]]이나 [[양성류]] 컨셉도 응모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하지만 아직 그런 멤버가 영입된 사례는 없다.[* 양성류 컨셉인 [[카가미 키라]]와 오카마 컨셉인 [[츠키시타 카오루]]가 있긴 했지만 [[HOLOSTARS]] 쪽에서 데뷔했다. 넓게 보면 [[아마네 카나타]]가 초기에 무성 설정을 밀었던 적이 있고, [[오오조라 스바루]]가 데뷔 이전에 [[YAGOO]]에게 [[오토코노코]] 컨셉을 제안받은 적이 있다.] 과거에는 모집 가이드라인 중 "방송실적이 있는 분(配信実績がある方)"이라는 항목도 있었지만,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073.000030268.html|#]] 현재는 우대 조건으로 내려온 상태다. 실제로도 데뷔 이전까지 방송 경력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멤버들도 있다. * 사실 시작부터가 아기자기한 가족회사로 시작한 느낌에, [[타니고 모토아키]] 사장은 멤버들을 '우리 [[탤런트]]'로 부르고 멤버들은 그를 '우리 [[사장님]]'으로 지칭하여 시청자들은 일반 회사의 [[사장]]-[[월급쟁이]] 관계 또는 [[사장]]-[[연예기획사]] 소속 [[연예인]]의 관계로 착오하는 경우가 잦다. 실제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은 [[MCN]]으로 연예기획사보다는 보조적이고 수동적인 역할로 제한된다. 소속 멤버들도 사원의 개념보다 [[프리랜서]] 또는 [[체인점]] 정도로 생각해야 운영방식에 대해 이해가 된다.[* 이에 대한 증거로는 [[로보코 씨]]가 과거 대출이 어려웠던 점, [[아마네 카나타]]가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웠던 점이 있다. 가장 결정적으로 이들은 [[세무사]]를 통하여 직접 세금신고를 하고 있다. [[유키하나 라미]] 등이 세금납부의 번거로움과 복잡함을 토로한 적이 있으며, 외국인이기까지 한 [[모리 칼리오페]]는 반쯤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세금 문제의 머리아픔을 하소연 한 적도 있다.] 기본적으로 홀로라이브 멤버들은 여느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마찬가지로 개인사업자에 해당되며, [[https://www.youtube.com/live/mY0CA_VhDQY?t=2170s|#]] [[https://www.youtube.com/live/euH3bOsusCQ?t=4070s|#]] 커버 주식회사와는 고용관계가 아니라 커버의 지적재산인 캐릭터 설정 및 모델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계약관계이다. 커버와 계약서를 쓰며 커버 측이 요구하고 탤런트 측이 수용한 계약조건에 따른 의무사항은 당연히 수행해야 하지만, 그 이외에는 사실상 개인 방송인과 큰 차이가 없이 자유롭게 활동한다. [[https://www.youtube.com/live/YRaUl1l2dAc?t=4039s|#]] 때문에 멤버 개인이 진행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비용은 자비로 진행하는 것이 당연한 구조이며, 대신 그 과정에서 홀로라이브라는 브랜드 가치의 제공 및 인적자원, 기술지원, 법률자문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https://www.youtube.com/live/_xK6b5EwlaQ?t=3973s|#]] 이런 [[MCN]] 구조로 인해 홀로라이브 운영 측은 멤버들의 계약사항의 위반이나 명백한 불법행위가 아닌 이상 대개 멤버들의 요청과 재가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입장이 된다. 때문에 개인사적으로 문제가 불거지거나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긴급하게 해당 방송인의 방송을 강력하게 중단시키거나 빠르게 사측에서 사태에 공식적으로 대응하는 공지를 올리는 등의 독단적 결정을 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멤버들이 관련해서 고충을 언급할 때 이 점을 고려해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좋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